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전체 글보기 (1492)
      • 금호타이어 뉴스 (265)
      • 호호, 신나는 생활 (523)
      • 타이어 쇼룸 (151)
      • 이럴 때 꿀팁 (474)
      • 어라운드 트랙 (72)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교통사고

    • 수입차와 교통사고, 이렇게 대처하세요!

      2016.11.03 by 금호타이어

    • 교통사고 과실비율은 어떻게 정해지는 걸까?

      2016.06.28 by 금호타이어

    • 교통사고가 났어요! 경찰에 신고를 해야 할까요?

      2016.03.28 by 금호타이어

    • 봄철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춘곤증, 제대로 대처하자!

      2016.03.21 by 금호타이어

    • 누구나 겪을 수 있어요. 교통사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2016.03.11 by 금호타이어

    • 한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자동차 색은?

      2016.02.23 by 금호타이어

    • 당황하지 마세요! 초보자를 위한 교통사고 대처방법

      2015.11.13 by 금호타이어

    • 추석 귀성길, 우리 가족을 위한 안전벨트 착용법

      2015.09.24 by 금호타이어

    수입차와 교통사고, 이렇게 대처하세요!

    운전을 하다 보면 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수 밖에 없는데요. 접촉사고부터 대형사고까지 운전자는 한 시도 운전대 앞에서 긴장을 늦출 수 없습니다. 이러한 사고들 가운데 수입차와의 교통사고는 수리비 및 보험료 측면에서 더욱 부담스러운 일이 되느데요. 수입차와 사고가 났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는 방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대물 배상액 한도는 '1억' 대물한도 배상은 상대차의 손상을 가입금액 한도 내에서 보험사가 보상하는 담보입니다. 가입금액은 일반적으로 2천만원에서 10억원까지인데요. 많은 운전자들이 2천에서 3천만원 정도의 대물배상 한도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가입한도를 2천만원으로 설정했을 때 보험료가 11만원이라면 1억원으로 한도를 정할 때는 13만원에서 14만원 정도로 2,3만원 차이가 납니..

    이럴 때 꿀팁 2016. 11. 3. 07:00

    교통사고 과실비율은 어떻게 정해지는 걸까?

    자동차사고 과실비율은 교통사고 발생 시 가해자와 피해자의 책임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보험회사에서 받는 보험금이 달라기 때문에 운전자들에게는 아주 중요한 사항인데요. 오늘은 교통사고 과실비율은 어떻게 정해지는지, 그리고 일반인이 쉽게 알아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과실비율은 어떻게 정해질까요? 교통사고 상황에 블랙박스나 CCTV가 있다면 과실비율을 따지기 쉽지만, 그렇지 않은 애매한 상황에 운전자들이 서로 상대의 책임을 주장한다면 상황이 어려워지는데요. 일반적으로 과실 비율은 사고 현장에 출동한 담당 경찰관이 결정하며 소송이 제기되었을 때는 법원이 판결하게 됩니다. 하지만 모든 교통사고에 경찰이 출동하지는 않으며, 운전자들이 각각의 보험사에 연결해 처리하는 경우가 많..

    호호, 신나는 생활 2016. 6. 28. 08:56

    교통사고가 났어요! 경찰에 신고를 해야 할까요?

    여러분은 교통사고가 나면 가장 먼저 어디에 연락하시나요? 가족? 119? 보험사? 많은 분이 현장에서 해결 가능한 경미한 사고라면 경찰에 신고하지 않고 당사자들끼리 합의를 합니다. 괜히 경찰에 신고했다가 일을 크게 만드는 건 아닌가 해서요. 이렇게 교통사고 발생 시 경찰에 신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일은 종종 고민이 되기도 하는데요. 금호타이어가 올바른 대처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교통사고가 발생했어요!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차의 운전자 등은 경찰공무원이 현장에 있으면 그 사람에게, 현장에 없을 때는 가장 가까운 경찰관서(지구대, 파출소 및 출장소 포함)에 지체없이 신고를 해야 합니다. (도로교통법 제54조 제2항 본문) 다만 운행 중인 차만이 손괴된 것이 분명하고 도로에서의 위험방지와 원활한 소통을..

    이럴 때 꿀팁 2016. 3. 28. 07:00

    봄철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춘곤증, 제대로 대처하자!

    지난주 이후로 점점 기온이 높아지더니, 이제는 완연한 봄이 된 듯합니다. 하지만 운전자에게는 봄이 더욱 주의해야 할 계절이라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바로 춘곤증 때문인데요, 자동차에서 잠깐의 졸음은 바로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정말 조심해야 합니다. 음주운전보다도 위험도가 높다는 졸음운전, 가볍게 여기지 말고 확실하게 대처하세요. 1. 왜 춘곤증일까? 겨울에서 봄으로 계절이 변화하면서 우리 몸도 이에 적응하게 되는데요, 그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여러 신체적 변화를 춘곤증이라 합니다. 충분히 잠을 잤는데도 오후가 되면 잠이 쏟아지고, 나른함이나 피로감,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게 되죠. 2. 춘곤증과 교통사고 최근 3년간 발생한 봄철 교통사고 기록을 보면 2월 보다 3월이, 3월보다 4월..

    이럴 때 꿀팁 2016. 3. 21. 07:00

    누구나 겪을 수 있어요. 교통사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늦은 밤, 파란 불 신호를 받고 액셀을 밟던 중 갑자기 옆에서 한 학생이 도로로 튀어나왔어요. 가까스로 부딪히지는 않았지만 정말 깜짝 놀랐는데요, 전에도 비슷한 일을 몇 번 겪었던 터라 그냥 넘겼습니다. 그런데 이후로 운전할 때마다 자꾸 그때 생각이 나네요. 자동차가 끼어들거나 사람이 튀어나오지는 않을지 걱정되어서 운전에 집중도 잘 안 되고요. 혹시 이거 흔히 말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인가요?” 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란? 전쟁이나 폭행, 화재, 교통사고 등 신체적인 손상과 생명의 위협을 받은 사고에서 신체적·심리적 외상을 받은 뒤에 나타나는 질환으로 PTSD, 트라우마라고도 불립니다. 놀랍게도 우리나라 사람의 79% 평생을 살면서 한 번 이상의 충격적인 외상적 경험을 하기 마련인데요. 시간이 ..

    호호, 신나는 생활 2016. 3. 11. 07:00

    한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자동차 색은?

    혹시 여러분 자동차는 무슨 색이세요? 아마 대부분이 흰색 또는 검은색의 무채색 계열 자동차일 것 같습니다. 이렇게 한국인이 무채색 계열을 선호하는 정도는 세계 다른 나라들에 비해 높은 수준이라고 하는데요. 물론 자신이 선호하는 색깔을 고민하기도 하지만, 결국 관리하기 쉽고 나중에 되팔기에 좋은 평범한 색깔을 선택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자동차 색상에 담긴 비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한국인이 사랑하는 무채색 ① 세계인이 선호하는 흰색 한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색은 흰색으로, 가볍고 깨끗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주·야간에 잘 보여서 사고를 방지합니다. 단 먼지나 기스 발생 시 티가 많이 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② 중후한 매력의 검은색 우리나라 대형 세단의 경우 검정색 점유율이 가장 높..

    호호, 신나는 생활 2016. 2. 23. 07:00

    당황하지 마세요! 초보자를 위한 교통사고 대처방법

    끼이~~~익! 꽝!! 얼마 전 첫 차를 구입한 금군. 시내 주행에 대한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역시 한 달도 안되서 교통사고가 났습니다. 순간 금군의 이마에서는 식은땀이 흐르고, 눈앞은 하얘졌는데요. 이렇게 금군 같은 초보 운전자들은 교통사고가 나면 어떻게 대처해야 지 너무 고민입니다. 그래서 금호타이어가 교통사고 발생 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적절한 대처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보험사 또는 112를 부른다 상호 원만하게 합의가 가능한 가벼운 사고인 경우에는 쉽게 처리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112와 보험사에 연락합니다. 교통경찰은 사고 상황을 공소권이 있는 사고인지 아닌지 판단하고, 상황을 빠르게 중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부상자가 있는 경우라..

    이럴 때 꿀팁 2015. 11. 13. 07:00

    추석 귀성길, 우리 가족을 위한 안전벨트 착용법

    추석 귀성길, 귀경길에 오르는 가족들은 안전에 반드시 유의해야 하는데요. 안전운전의 가장 기본적이고도 중요한 부분은 바로 ‘안전벨트’ 입니다. 안전벨트의 중요성은 모두 알고 있지만, 정확하게 착용하는 방법을 놓치는 경우가 많으실 텐데요. 특히 어린이와 임산부에는 그에 맞는 안전벨트 착용법이 따로 있다고 합니다. 그럼 오늘은 우리 가족을 지켜주는 안전벨트의 올바른 착용법을 함께 알아볼까요? 1. 올바른 안전벨트 착용법 운전 중 안전벨트가 불편하다고 느슨하게 매거나, 어깨 밑으로 안전띠를 내리게 되면 안전벨트를 안하느니만 못합니다. 정확히 착용하는 습관을 평소에 기르도록 합니다. 2. 어린이를 위한 안전벨트 착용방법 1. 전용 카시트를 사용한다 안전벨트는 성인 신체 사이즈에 맞춰 나오기 때문에 어린이들은 전..

    이럴 때 꿀팁 2015. 9. 24. 07: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푸터 로고 © Magazine Lab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투브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