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럴 때 꿀팁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TPMS)의 모든 것!

계절이 변할 때나 장거리 운전을 앞두고 타이어 점검을 해야할 때 꼭 살펴봐야 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타이어 공기압'입니다.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타이어 공기압 관리. 하지만 매번 정비소에 들러 공기압 체크하는 것이 쉽지는 않은데요. 그렇지만 공기압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을 경우 사고 시 큰 위험이 있기 때문에 그냥 넘길 수는 없습니다. 안전을 위해 반드시 체크해야 하는 공기압 관리를 운전자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도입된 타이어 공기압 경보장치(TPM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TPMS란?

TPMS란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의 약자로, 타이어 공기압을 감지하는 장치입니다. TPMS는 직접 방식과 간접 방식 두가지가 있는데요. 직접방식은 타이어 공기주입 벨브에 센서가 부착되어 타이어 내부의 공기와 온도를 측정하고 TPMS 송수신기를 통해 운전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게 됩니다.

 

 

 

간접방식은 TPMS 센서가 아닌 ABS 센서에서 얻은 바퀴 회전수를 통해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정 수준인지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일정 거리를 주행했을 때 바퀴 회전수를 측정하여 타이어 공기압에 대한 이상 유무를 알려줍니다.

 

 

2. TPMS 도입 배경

타이어 공기압을 운전자 스스로 확인할 수 있는 TPMS는 미국을 시작으로 전 세계에서 선택사항이 아닌 의무사항으로 채택하고 있는데요. 가장 먼저 TPMS 의무화를 시작한 미국에서는 2000년 초반 특정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들이 지속적으로 전복사고를 겪는 것을 확인하고 원인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타이어 공기압이 낮은 상태로 주행해 타이어가 터지고 차량이 전복되었다는 것을 알게됬는데요. 타이어의 문제가 아닌 공기압의 문제임을 확인하고 낮은 타이어 공기압이 안전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해 2007년 9월 1일 이후 판매되는 모든 차량에 TPMS 장착을 의무화 했습니다.

 

 

 

 

유럽의 경우에는 환경적인 측면에서 TPMS를 의무화하기 시작했습니다. 적정 수준의 공기압을 유지하면 연료 효율이 높아지고 배출가스도 줄어든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의무화하기 시작했습니다.

 

3. 우리나라도 TPMS의무화

TPMS장치는 자동차 구매 옵션 중 하나였습니다. 하지만 2013년부터 새로 양산되는 3.5t이하 차량에 한해 TPMS가 의무 장착 대상이 되었습니다. 2015년부터는 출시 후 판매중인 모든 차량이 TPMS 의무 장착 대상이 되었는데요. 2015년 이후 출고되는 모든 신차는 의무대상이지만 현재 운행중인 차량은 의무 장착 대상에서 제외되어 법적으로 위반 사항은 없습니다.

 

4. TPMS의 효과

정비소에 들리지 않고 운전자가 적절한 시점에 타이어 공기압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는 어떤 효과를 가져올까요?

 

먼저, 공기압이 부족할 경우 생길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급제동이나 급회전 중 타이어 파손으로 인한 사고를 막고, 전복사고 등을 막을 수 있습니다. 미국 도로교통안전국에 의하면 TPMS 장착을 의무화 한 이후 타이어 결함으로 인한 연간 교통사망자수와 부상자 수가 감소했다고 합니다. 둘째, 타이어 공기압을 적정하게 유지하면 연료효율이 좋아져 온실가스 배출량도 줄어들게 되어 환경보호 측면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이제는 선택이 아닌 의무사항이 된 TPMS. 타이어의 공기압은 온도에 민감한 만큼 계절이 바뀔때마다 주요 점검 포인트가 되는데요. 번거롭다는 이유로 소홀이 해서는 안되는 항목 중 하나입니다. 2008년 한국소비자원 조사에 따르면 10대 중 6대에 해당하는 64%의 차량이 공기압 부족 상태로 운행했고 27%는 공기압 초과 상태로 운행하는 등 적정 공기압을 유지하며 운행하는 것이 쉽지 않음을 보여주었는데요. 돌발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타이어. 그 중에서도 타이어의 성능을 책임지는 공기압 체크는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자 의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