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자동차마다 머플러 위치가 다를까?
자동차 엔진에서 생겨난 배기가스를 배출하고 배기 소음을 줄여주는 장치인 '머플러'. 주로 원통이나 직사각형의 모양을 하고, 차량 뒤쪽에 있죠. 그런데 가만 보면 어떤 자동차는 머플러가 왼쪽에 있고, 또 어떤 자동차는 오른쪽에 있습니다. 왜 자동차 마다 머플러의 위치가 다른 것일까요?
'통행 문화'에 영향을 받는 머플러 위치
자동차 머플러의 위치는 자동차 제조사의 국적에 따라 결정돼요.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해당 나라의 통행 문화에 따라 달라진다고 할 수 있어요.
우측통행을 하는 나라의 경우 통상적으로 자동차 머플러는 왼쪽에 장착돼요. 보행자들이 최대한 배출가스에 덜 노출되게끔 배려한 것입니다. 머플러가 왼쪽에 있어야 우측에서 보행하는 사람들에게 매연이 덜 전달되겠죠?
실제로 미국, 독일 등 우측통행을 하는 나라에서 제조하는 차량은 대부분 머플러가 왼쪽에 있어요. 반대로 영국이나 일본처럼 좌측통행을 하는 국가의 차량은 오른쪽에 머플러가 있는 경우가 많답니다.
우리나라 자동차 브랜드들의 머플러
앞서 자동차의 머플러 위치는 제조국의 통행 문화에 따라 결정된다고 설명해 드렸는데요. 그런데 현대·기아 등 국산 자동차들의 머플러는 대부분 오른쪽에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우측통행을 하는 나라인데 왜 우측에 머플러가 장착되어 있을까요?
그 이유는 과거 현대·기아차가 일본의 차량을 참고해 자동차를 만들었기 때문이에요. 예전에 우리나라 자동차 기업들은 일본 자동차들을 국내로 들여와 판매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계 영향을 받은 것이죠.
하지만 최근 출시되는 차량에는 머플러가 중앙에 위치한 '센터 머플러'나 양쪽에 배치된 '듀얼 머플러' 등 다양한 머플러가 적용되고 있어요.
기아차는 지난 1월 출시된 '소울 부스터' 후면부 하단 중앙에 트윈 머플러를 탑재해 스포티함을 강조했으며 현대차는 제네시스 G90의 후면부에 듀얼 머플러를 적용해 고성능 차만의 감성을 부각시킨 바 있습니다. 르노삼성 역시 SM6에 듀얼 타입 머플러 팁을 장착해 고급스러움을 더했으며 한국 GM 더 뉴 카마로SS에서도 대구경 듀얼 머플러가 장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전기차·수소차 등 미래 자동차의 머플러
이처럼 머플러는 자동차마다 그 위치를 달리하고 있는데요. 앞으로는 머플러가 아예 자동차에서 사라지거나, 지금과는 사뭇 다른 모습으로 변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가까운 미래에 상용화될 것으로 보이는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와 모터를 동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머플러가 장착돼 있지 않거든요. 엔진과 같은 내연기관을 사용하지 않으니, 엔진에서 나온 배기가스를 분출하는 머플러 역시 필요가 없게 되죠. 앞으로 전기차가 대중화된다면 머플러가 없는 자동차를 쉽게 볼 수 있겠네요.
하지만 '수소 자동차'에는 일종의 머플러가 있어요. 수소차는 자동차 자체적으로 수소와 산소를 화학 반응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자동차예요. 이렇게 수소와 산소가 전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물(H2O)가 발생하는데요, 이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 역할을 머플러가 하는 거죠. 내연기관 자동차 머플러에서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반면, 수소차의 머플러에서는 수도꼭지처럼 물이 뚝뚝 떨어진답니다.
지금까지 자동차 머플러에 얽힌 이야기를 살펴봤습니다. 매일 보는 자동차 머플러도 이렇게 꼼꼼히 들여다보니 흥미롭네요! 오늘은 여러분의 자동차에 머플러가 어디에 장착되어있는지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는 게 어떨까요?